Amazon EC2로 블로그를 배포 해보고자 Amazon Route 53에서 도메인 구입 및 관리에 대해 알아보았다.
Route 53
Route 53은 AWS에서 제공하는 DNS ( Domain Name System ) 웹 서비스로 도메인과 관련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. DNS는 도메인과 도메인에 해당하는 IP 정보를 가지고 있다가 도메인 주소에 대한 요청이 들어왔을 때 이에 해당하는 ip를 알려주는 서버로 Route 53에서 도메인 이름을 IP주소로 변환하고, 웹 트래픽을 관리하는 데 사용된다.
AWS Route 53 도메인 구입
AWS Route 53 관리
호스팅 영역 생성
호스팅 영역은 레코드의 컨테이너이며, 레코드에서는 특정 도메인 (ex. test.com) 과 그 하위 도메인의 트래픽을 라우팅 하는 방식에 대한 레코드들의 정보를 모아 놓은 곳이다.
도메인 이름에 구입한 도메인 이름을 작성하고 유형에 퍼블릭 호스팅 영역을 선택한다.
생성된 호스팅 영역 레코드
호스팅 영역에 있는 리스트 중 호스팅 영역 이름을 클릭하면 해당 호스팅 영역 세부 정보와 NS와 SOA 가 자동으로 생성되어 있는 레코드를 볼 수 있다.
NS 타입 : 도메인에 대한 네임서버의 권한을 가지고 있는지 알려주는 레코드이다. 4개의 네임서버를 볼 수 있으며 4개나 있는 이유는 네임서버가 죽으면 여러분의 서비스를 들어갈 수 없고, 서비스가 죽는것과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4개를 AWS에서 지정해준다. 이 네임서버를 통해 사용자가 요청을 했을 때 ip 정보를 반환해준다.
SOA 타입 : 도메인의 정보를 가지고 있는 필수 레코드이다. 도메인 영역을 표시하는 역할을 하며 네임서버에게 어떤 기준에 의해 이 도메인을 관리하여야 하는지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. AWS에서 자동으로 생성해준다.
Route 53, EC2 인스턴스 도메인 연결방법
생성된 호스팅 영역에 들어가 레코드 생성 버튼을 누른다.
단순 라우팅 선택 후 다음을 누른 뒤 단순 레코드 정의를 클릭한다. (구입한 도메인minsunblog.com )
이제 단순 레코드 정의 입력 창에 아래 정보들을 입력하면된다.
참고